본문 바로가기

위험성평가3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 가능 VS 불가능 항목 (2/2) 안녕하세요. 안전팀입니다. 지난 글에서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개념과 안전관리자/보건관리자 임금, 안전시설비, 보호구 등, 안전보건진단비 항목의 사용가능 품목/ 불가능한 품목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번엔 안전보건교육비, 건강장해예방비, 건설재해예방전문지도기관 기술지도비, 위험성평가 등실시에 항목에 대해 알아볼까요? 안전보건교육비는 말 그대로 건설공사 현장에서 근로자의 교육 시 소요되는 비용을 말합니다.또한, 산업재해 예방을 목적으로한 타법령상 의무교육 비용도 사용 가능합니다. 근로자 건강장해예방비는 건강진단, 응급의료용품, 감염병 예방을 위한 마스크(KF), 손소독제, 검사비용도사용 가능하며 이번에 개정된 AED(자동심장충격기 또는 자동제세동기) 구입 비용도 사용 가능합니다! 또한 혹서기(6~9월) 및 혹한.. 2024. 7. 10.
TBM (Tool box Meeting) 안녕하세요. 버미입니다! 오늘은 현장에서 작업 전 실시하는 TBM(Tool box meeting)에 대해 알아볼까요? TBM은 산업안전보건법으로 실시해야 되는 사항은 아니지만, 거의 모든 현장에서 실시합니다. 이처럼 TBM은 오늘 하루 작업의 시작을 알리는 첫번째 안전활동인데요 작년 위험성평가 지침 개정으로 근로자들에게 위험성평가 내용을 교육/주지 시키는 방안으로 지침이 개정되었습니다. 실제로 당해 작업에 대해 위험요인을 공유하며, 개인보호구 등 점검하여 숙지하여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을 막고 해당 작업의 위험요인을 미리 숙지하여 대비하게 하는 활동입니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당해 작업 전 팀별 모아서 T.B.M 활동을 실시하여 안전하게 작업하시기 바랍니다! 2024. 3. 13.
안전보건교육 시간 및 내용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개정사항) 안녕하세요. 버미입니다! 2023년 9월27 일부개정 사항인 안전보건교육 시간 및 내용 변경에 대해 알아봅시다! ①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 보수교육 이수기간 확대 - 신규교육 : 선임일로부터 3개월 이내 (변동 없음) - 보수교육 : 신규교육 이수한 날 기준으로 전후 6개월로 확대 (법 개정전 전후 3개월) ② 근로자 정기교육 및 채용 시 교육 시간/내용 정비 - 근로자 정기교육 주기 : 매분기 → 매반기로 완화 ※ 예를들어, 사무직 근로자 매분기 3시간에서 매반기 6시간 - 단기간 근로자 채용 시 교육 시간 완화(개편) 1) 일용근로자 및 근로계약기간 1주일 이하 : 1시간 이상 2) 근고계약기간 1주일 ~ 1개월 이하 : 4시간 이상 3) 그 밖의 근로자 : 8시간 이상 - 근로자 및 관리감독자 정기/.. 2024. 3.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