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한 LIT 만들기38 이동식(A형) 사다리 안전수칙 안녕하세요. 버미입니다! 오늘은 추락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이동식 사다리 안전수칙에 대해 알아봅시다 이동식 사다리는 법에서 승하강, 이동용으로만 사용하게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산업의 현실은 그렇지 못하죠!! 그래서 고용노동부에서, 경작업, 협소한장소 등 일부에 대해 안전수칙을 규정하여 사용토록 했습니다! 흔히 사용하는 A형 사다리의 안전수칙에 대해 쉽게 알아볼까요? 2024. 2. 28. 해빙기 위험요인별 대책_추락 안녕하세요! 버미입니다! 2021년 ~ 2023년 발생형태별 떨어짐(추락)에 의한 사고사망자 비율이 전체 1,175명 중 661명(56.3%)로 사고사망의 절반에 해당됩니다. 그만큼 추락사고는 어느 계절이던, 어떤 공사 형태던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사항입니다! 해빙기 추락사고 방지를 위한 대책을 알아볼까요? 2024. 2. 27. 해빙기 위험요인별 대책_질식/중독 안녕하세요! 버미입니다. 해빙기 양생을 위한 석탄 난로에 의한 화재/폭발뿐만 아니라, 갈탄 난로 등 일산화탄소에 의한 질식/중독 위험도 종종 발생합니다! 또한, 겨울철 환기를 하지 않던 밀폐공간 작업 시 질식 위험이 있어 해빙기 발생할 수 있는 질식/중독의 안전대책을 알아봅시다! 2024. 2. 27. 해빙기 위험요인별 대책_화재/폭발 안녕하세요! 버미입니다. 해빙기 또한 추운 날씨로 인해 현장 곳곳에서 보온 및 양생을 위한 전기난로/ 불깡통/ 석탄난로 등을 사용합니다. 이로 인해 화재 또는 폭발 가능성이 있습니다. 해빙기 화재/폭발위험에 대한 안전대책을 알아보아요! 2024. 2. 27. 해빙기 위험요인별 대책_지반침하 안녕하세요! 버미입니다! 오늘은 해빙기 위험요인중 지반침하 안전대책에 대해 알아보아요! 2024. 2. 27. 해빙기 위험요인별 대책_무너짐/붕괴 안녕하세요 버미입니다! 해빙기 위험요인별 대책에 대해 알아보아요! 동결융해 등에 의한 토사/법면/굴착면/지반의 무너짐 및 붕괴에 따른 안전대책을 알아볼까요? 2024. 2. 27. 해빙기 건설현장 안전관리 안녕하세요 버미입니다. 겨울철 동결되었던 지반이 봄이오면서 융해되면서 법면, 굴착면, 지반 등 연약화가 진행되어 붕괴 등 사고 발생 위험이 있습니다. 해빙기가 무엇인지, 어떤 유해위험요인이 있는지 함께 알아볼까요? 2024. 2. 27. 형광등 화재예방 "오전 6시쯤 소변 때문에 화장실에 갔는데 형광등이 깜빡깜빡 거리는 것을 봤다. 기분이 이상해서 문을 여는 순간 한 집에서 불이 벌겋게 타올랐다" - 23년 1월 23일 구룡마을 화재 최초 신고자의 진술내용- 형광등이 화재사고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아 2015년 한국소비자원과 국가기술표준원은 형광등 69개 제품을 점검하였고, 35개 제품이 안전인증 때와 달리 부품을 바꾼 것으로 판정받아 해당업체는 리콜명령을 받았습니다. 현재 기준의 안전인증 제품의 확인은 제품안전인증센터 (www.safetykorea.kr)에서 가능합니다. 그 동안 안전인증 반납 제품과 새로 인증받은 제품이 많아 사용중인 제품이 이상하거나 의심스러울 경우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구룡마을 화재의 원인에 대한 조사결과는 나오지 않았으나 .. 2023. 2. 14. 신호수 안전작업 안녕하세요. 안전팀 입니다. 금일은 신호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고층 건물 등의 작업, 공사는 대부분 사람의 키 이상이고 강도 높은 구조물로 구성되어 있어 사람이 들거나 날라서 작업을 하기 힘든 구조와 환경으로 되어 있습니다. 당연히 장비, 설비를 이용하게 되어 있는데 장비에 탑승하여 하는 작업은 카메라 기능이 탑재된 장비라 하더라도 사람 눈과 달리 사각지대, 인지하기 힘든 순간이 많습니다. (참고, 지게차는 후방감지기, 굴착기는 ① 후사경, ②후방 영상 장치 의무 설치) 보통 작업도 2인 1개조로 작업자와 보조자가 함께하는데 당연히 보조하는 사람이 필요하게 됩니다. 보조자를 보통 신호수 등으로 표현하는데 아래와 같이 구분합니다. 유도자와 신호수의 구분이 위를 내용으로 쉽지 않을 수 있는데, 쉽게 .. 2023. 2. 8.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