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한 LIT 만들기38

TBM (Tool box Meeting) 안녕하세요. 버미입니다! 오늘은 현장에서 작업 전 실시하는 TBM(Tool box meeting)에 대해 알아볼까요? TBM은 산업안전보건법으로 실시해야 되는 사항은 아니지만, 거의 모든 현장에서 실시합니다. 이처럼 TBM은 오늘 하루 작업의 시작을 알리는 첫번째 안전활동인데요 작년 위험성평가 지침 개정으로 근로자들에게 위험성평가 내용을 교육/주지 시키는 방안으로 지침이 개정되었습니다. 실제로 당해 작업에 대해 위험요인을 공유하며, 개인보호구 등 점검하여 숙지하여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을 막고 해당 작업의 위험요인을 미리 숙지하여 대비하게 하는 활동입니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당해 작업 전 팀별 모아서 T.B.M 활동을 실시하여 안전하게 작업하시기 바랍니다! 2024. 3. 13.
안전대 사용 안전수칙 안녕하세요. 버미입니다! 근로자 떨어짐(추락) 사고 예방을 위해 사용하는 보호구인 안전대에서 알아볼까요? 현장에서 주로 안전벨트라고 불리는 안전대는 추락 위험장소에서 반드시 사용해야 할 보호구입니다. 안전대 종류가 여러가지나, 현장에서 보통 사용하는 전체식(안전그네식) 안전대 사용을 권장합니다. 또한 안전대에서 죔줄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여, 반드시 같은 제조사의 안전대와 죔줄을 사용해야합니다! 2024. 3. 12.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현황 안녕하세요. 버미입니다! 23년 산업재해 현황 부가통계 중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 잠정발표가 나왔습니다! 사고사망자는 22년 644명 대비 46명(△7.1%) 감소한 598명으로 500명대에 진입했습니다!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전반적인 경기여건과 정부의 중대재해 감축 등 각종 정책 및 예산 확대 등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업종별 현황은 건설업 303명, 제조업 170명, 기타업종 125명으로 전년대비 건설업이 33명(△11.1%), 제조업 1명(△0.6%), 기타 업종 7명(△5.3%) 감소로 건설업에서 눈에 띄게 사고사망자 수가 감소했습니다. 유형별 현황은 여전히 떨어짐(추락)에 의한 사망자가 251명(42%) 으로 가장 높았으나, 전년대비 17명(△6.3%) 감소했.. 2024. 3. 11.
화기작업 안전수칙 안녕하세요. 버미입니다! 현장에서 화재발생 대부분의 원인은 화기 작업 시 발생되는 불티에 의해 발생됩니다. 불티는 용접/ 용단, 절단 작업 시 발생되어 날아가 가연물 또는 인화성물질, 산소와 접촉하여 발화하면서 화재가 발생합니다. 화기 작업 안전수칙을 준수하여 불티에 의한 화재를 예방합시다! 2024. 3. 11.
안전보건표지의 종류 안녕하세요! 버미입니다. 일상에서도 많이 보이며, 각종 산업현장의 유해위험한 장소/시설/물질에 대해 필수로 부착 하여야 하는안전보건 표지 종류 및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봅시다! 2024. 3. 8.
절단 및 연삭 작업을 위한 공도구 안전수칙 안녕하세요! 버미입니다. 오늘은 현장에서 가장 많이 쓴느 공도구인 핸드그라인더, 고속절단기 안전수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핸드그라인더와 고속절단기는 철재물 등을 절단 및 연삭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핸드그라인더의 경우 이동하며 사용이 가능하며, 고속절단기는 해당 장소에 비치 후 사용합니다. 아래의 안전수칙 외 중요한 부분이 있는데, 핸드그라인더나 고속절단기 RPM보다 절단석, 날 등 RPM이 더 커야 합니다!! (날 손상 및 비래 예방) 2024. 3. 7.
지게차 안전수칙 안녕하세요! 버미입니다. 지게차는 차량계하역운반기계로 중량물을 운반하는 아주 편리한 장비입니다. 거의 모든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지게차 사용에 대한 안전수칙을 알아볼까요? 2024. 3. 5.
이동식비계 안전수칙 안녕하세요! 버미입니다. 고소작업 시 거의 모든 사업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작업발판 중 하나가 오늘 공부해 볼 이동식비계입니다. 비티아시바라고도 불리는 이동식비계의 안전수칙을 알아볼까요? 산업안전보건법에을 준수해야 할 사항 외 추가적인 안전대책이 기재되어 있으니. 이동식비계 안전수칙을 준수하여 재해를 예방합시다! 2024. 3. 4.
말비계 안전수칙 안녕하세요. 버미입니다! 각종 산업현장에서 작업대로 많이 사용하는 말비계의 안전수칙에 대해 알아볼까요? 현장에서 생긴 모양새 때문에 우마(牛馬)라고 부르는 말비계는 다소 낮은 높이의 비계형태의 발판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말비계 역시 추락, 전도의 위험이 있어 안전수칙을 준수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말비계 사용 시 안전수칙에 대해 알아봅시다! 2024. 2. 29.